[뉴스초점] 나흘 연속 1,000명대 확진…수도권 병상부족 현실화<br /><br /><br />코로나19의 3차 대유행이 갈수록 더 거세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수도권을 비롯해 전국에서 집단감염이 잇따르면서 최근 일주일 하루 평균 환자 수도 3단계 격상 기준의 최대치에 근접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'병상 대란'이 현실화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천은미 이대목동병원 호흡기내과 교수와 자세한 상황 짚어봅니다.<br /><br />어서오세요.<br /><br /> 나흘째 1000명대의 확진자가 나오면서 하루 평균 수치로도 이미 거리두기 3단계 격상 기준에 들어섰습니다. 그간 거리두기 단계를 계속 높여왔음에도 불구하고 1000명대를 유지하는 것은 어떻게 해석해야 될까요?<br /><br /> 하지만 정부는 방역 사각지대 관리에 집중한다며 신중한 입장입니다. 수도권 이동량이 조금씩 줄고 있는 만큼 효과가 곧 나타날 거란 기대인데요. 교수님께서는 상황을 어떻게 진단하고 계세요?<br /><br /> 휴일인 오늘도 임시 선별검사소는 운영되고 있습니다. 지난 닷새간 수도권 익명검사로 밝혀낸 숨은 확진자는 총 286명인데요. 그런데 양성률이 0.1%에서 0.31%까지 날이 갈수록 조금씩 높아지고 있어서요. 지역사회 감염이 조금씩 더 심화하고 있다고 볼 수 있는 건가요?<br /><br /> 그런데 확진자의 상당수가 무증상이라는 게 걱정입니다. 본인도 모르는 사이에 이미 남들에게 감염시키는 게 아니겠습니까?<br /><br /> 요양시설과 병원 등에서 무더기 확진자가 발생하고 있습니다. 특히 충북 지역의 확산세가 심상치 않은데요. 청주의 노인요양시설에서 47명이, 음성의 정신질환 치료병원에서 30명의 추가 확진자가 나왔습니다. 현재 각 시설을 동일 집단 격리 중인데요. 병원 내 추가 감염을 막는 게 급선무로 보여요?<br /><br /> 병원 내 감염이 계속되고 있는 울산 양지요양병원은 비확진자들을 타 시설로 분리하는 방안을 추진했지만 결국 무산됐습니다. 확진자가 있는 층과 비확진자 병동 사이 층수를 더 두기로 했는데요. 양성판정을 받은 의료 인력도 잔류중이라 병상 재배치만으로 연쇄감염을 막을 수 있을지 우려되는데요?<br /><br /> 서울시는 앞으로 '3밀' 환경을 갖춘 요양병원 등을 대상으로 전수조사에 나서겠다고 했습니다. 확산세를 차단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이는데 늘어난 확진자를 어떻게 분류하고 관리를 할 것인지도 대비해야 할 것 같아요?<br /><br /> 양성 판정을 받아도 집에서 대기해야 하는 경우가 서울의 경우 60%에 달합니다. 하루 이상 대기하는 환자들도 227명에 달하고 있는데요. 위중한 환자나 위중해질 수 있는 분들을 미리 분류하고 치료해야 할 텐데 의료 역량에 한계가 왔다고 볼 수 있을까요?<br /><br /> 어제 하루 사망자가 14명이 나왔습니다. 위중증 환자도 29명이 늘어났는데요. 앞으로의 상황을 더 악화시키는 요인이 되지 않겠습니까?<br /><br /> 경기 부천 소재 요양병원에서는 확진자 3명이 병상을 기다리다 목숨을 잃는 안타까운 일들이 나왔습니다. 겨울철 3차 대유행이 있을 거란 예측을 해왔었는데도 불구하고 병상 확보 대비에 안일하지 않았나 싶은데요?<br /><br /> 병상 확보가 급하다 보니 준중증 병상을 만들겠다는 계획도 나왔습니다. 중환자 병상 효율을 높이겠다는 건데요. 이런 것들이 숨통을 틔워주는 계기가 될까요?<br /><br /> 대형 민간병원에서도 위중증 환자를 위한 병상 확보에 나섰습니다. 그런데 코로나19 외 다른 중증질환으로 치료를 받아야 하는 분들이 역으로 어려움을 겪는 현상도 나오고 있어요?<br /><br /> 서울 용산구 건설현장에서 일주일 만에 88명에 달하는 확진자가 나왔습니다. 매일 아침 수백 명이 모여서 체조를 하고 작업자들이 한곳에서 흡연을 하는 등 기본적인 거리두기가 지켜지지 않았다고 해요?<br /><br /> 강원도 평창의 스키장을 고리로 한 n차 감염도 짚어보겠습니다. 야외라서 전파력이 약하지 않겠냐 싶었는데 취식을 하거나 휴식을 하는 공간에서 감염 우려가 있다는 건데요. 정부가 9시 이후 야간스키를 중단하기로 했지만, 오히려 그 전에 사람들이 더 몰리는 게 아니냐는 우려도 나와요?<br /><br />지금까지 천은미 이대목동병원 호흡기내과 교수였습니다.<br /><br />오늘 말씀 감사합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